안녕하세요!
해외 주식, 특히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분들이 정말 많아졌죠.
그런데 수익이 늘어날수록 세금도 따라온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미국 주식 투자에 있어서 ‘절세 전략’은 수익률만큼이나 중요합니다.
오늘은 미국 주식 투자자들을 위한 절세 방법과 팁을 정리해드릴게요!
1. 양도소득세 비과세 한도 활용하기 (250만 원 룰)
해외 주식 양도차익(팔아서 남긴 이익)은 연간 250만 원까지 비과세입니다.
- 연간 양도차익이 250만 원 이하면 세금 X
- 초과한 금액에만 22% 세율 (지방소득세 포함)
절세 TIP
→ 수익이 250만 원을 넘을 것 같다면 일부 종목은 다음 해로 넘겨서 매도
→ 여러 계좌로 분산해도 합산 기준이므로 주의!
2. 손익 상계 전략 활용하기
같은 해에 수익이 난 종목과 손실이 난 종목을 같이 매도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어요.
이걸 ‘손익 상계’라고 합니다.
예시
- A 종목: 500만 원 수익
- B 종목: 300만 원 손실
→ 실질 양도차익: 200만 원 → 세금 없음!
절세 TIP
→ 연말에 수익 실현 전, 손실 종목도 함께 정리하세요!
3. 환차익 조절하기
미국 주식은 달러로 사고팔기 때문에 환율에 따른 환차익/환차손도 세금에 영향을 미칩니다.
- 환차익도 과세 대상
- 환차손은 차익에서 공제 가능
절세 TIP
→ 달러 환율이 낮을 때 환전하거나
→ 환차익이 많이 났다면 일부러 환차손이 있는 시점에 환전하는 것도 전략!
4. 배당소득 종합과세 피하기
미국 주식에서 배당을 받으면
- 미국에서 15% 원천징수
- 한국에서 5.5% 추가 과세 → 총 20.5% 세금
하지만! 배당 + 이자 소득이 연 2천만 원을 넘으면 종합소득세 대상이 됩니다.
세율이 최대 49.5%까지 올라갈 수 있어요!
절세 TIP
→ 배당금이 많은 분들은 배당 시기 조절, ETF 활용, 국내 ETF 분산 투자로 조절하세요.
→ 배당 적은 성장형 종목 중심의 포트폴리오도 고려!
5. 미국 ETF와 국내 ETF의 과세 차이 활용
6. ISA 계좌 활용하기
(일부 ETF & 국내 종목)
ISA 계좌를 활용하면
- 일정 한도 내에서 비과세 또는 저율 분리과세 혜택
- 국내 상장 해외 ETF 일부가 포함됨
절세 TIP
→ 장기 투자 & 고배당 ETF는 ISA 계좌에서 운용하면 훨씬 유리해요.
7. 세무 자료 미리미리 준비하기
양도소득세는 직접 신고해야 하는 세금입니다.
대부분의 증권사에서는 연말 자료나 세무 리포트를 제공하니 꼭 활용하세요.
절세 TIP
→ 국세청 홈택스 + 증권사 세금자료로 손쉽게 신고 가능
→ 세금이 복잡하다면 삼쩜삼 같은 간편 신고 서비스도 추천!
마무리
미국 주식 투자는 수익률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효율적으로 세금을 줄이느냐가 진짜 실력입니다.
“세금도 전략이다.”
매년 5월에는 꼭 세금 신고를 챙기고,
연말에는 미리 포트폴리오 점검과 절세 전략을 세워보세요!